비나텍, H2 MEET 2023서 수소연료 핵심부품 일괄 생산 수직계열화 소개해… “내년 2·3공장 준공으로 세계적 수준 오를 것”
'H2 MEET 2023’에 참가한 비나텍의 ‘CNF(Carbon Nano Fiber)’에 대한 원천기술 소개 | 촬영-에이빙뉴스
비나텍(대표 성도경)은 9월 13일(수)부터 9월 15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H2 MEET 2023에 참가해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부품 연구개발과 생산 능력 확대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무엇보다도 비나텍은 탄소를 기반으로 직접 연구개발한 수소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지지체, 촉매, MEA, 분리판 4가지를 일괄 생산하는 수직계열화를 이룬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소개했다.
그중 ‘CNF(Carbon Nano Fiber)’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와 함께 탄소 활성화, 탄소 형상 제어, 탄소 복합화, 금속 촉매 합성·첨착하는 기술을 개발 및 상용화해 왔다. 특히 연료전지 촉매의 핵심 소재인 ‘지지체’는 결정화도와 비표면적이 우수한 CNF 또는 고내구성 카본블랙 제품으로 카본 부식에 강하며, 촉매는 넓은 전기 화학 반응 면적과 안정성을 지원한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의 핵심 부품인 ‘MEA’는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해 자동차, 건물용 발전, 드론, 건설기계 등 다양한 연료전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고, 높은 성능과 강한 내구성이 장점이다.
이외에도 에너지 저장장치인 수퍼커패서티 전문 제조업체로서 원통형,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리튬 커패시터를 제공하고 있다.
'H2 MEET 2023’에 참가한 비나텍 부스 전경 | 촬영-에이빙뉴스
비나텍 관계자는 “MEA의 경우 현재 백만장 라인을 운영 중이고 내년 2, 3공장 준공 예정으로 친환경 사업 확대와 함께 현대자동차를 제외하고 세계 톱 수준의 생산량과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편, H2 MEET(Mobility+Energy+Environment+Technology)는 ▲수소 생산 ▲수소 저장 및 운송 ▲수소 활용 분야의 국내외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열리는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이다. 행사는 H2 MEET 조직위원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수소에너지네트워크,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산업연합포럼)가 주최하며, 메인 스폰서는 쉐브론, TUV 라인란드, BP, 한국수력원자력, 포비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맡았다. 전시 기간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K-BATTERY SHOW 2023)이 함께 개최됐다.
'H2 MEET 2023’에 참가한 비나텍에서 선보인 에너지 저장장치인 수퍼커패서티 제품 모습 | 촬영-에이빙뉴스
*기사 출처: (https://kr.aving.net/news/articleView.html?idxno=1784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