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NATech

문의
+ 약관 보기

슈퍼커패시터 및 연료전지 시장의 최신 동향

PR Center

게시판 내용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PEMFC와 비나텍의 Value Chain

Vinatech
조회수 : 174   |   2025-06-12

 

수소연료전지의 정의와 종류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에너지(전기)를 생성하는 기술로, 친환경성과 높은 에너지 효율, 빠른 충전 속도 등을 바탕으로 수소 경제와 함께 주목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PEMFC, PAFC, MCFC, SOFC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분

고분자 전해질 FC

PEMFC

인산형 FC

PAFC

용융산염 FC

MCFC

고체산화물 FC

SOFC

전해질

고분자막

인산염

용융탄산염

고체산화물

작동온도

50~100℃

150~250℃

650℃

600~900℃

주 촉매

백금

백금

Perovskites

니켈

전기효율

<40%

40~45%

45~60%

50~60%

복합효율

-

90%

88%

-

주 용도

수송용, 휴대용

발전/가정/건물용

발전/가정/건물용

발전/가정/건물용

특히 PEMFC는 높은 전력 밀도, 낮은 작동 온도와 중량, 체적이 작다는 특성을 바탕으로 핵심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다.


PEMFC가 주목받는 이유와 기술적 과제

PEMFC는 50~100℃의 낮은 작동 온도와 함께, 다른 연료전지대비 높은 전력 밀도를 제공하면서도 중량과 체적이 작아 수송용, 휴대용, 이동형 연료전원으로 활용도가 높다. 이 때문에 상용차, 버스, 드론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소형화와 고출력의 균형이 요구되는 산업에서 폭넓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백금 촉매 사용에 따른 고비용 구조, 습도 및 연료 순도에 민감한 성능 특성, 폐열 활용도 제한 등의 기술적 과제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택(Stack)과 구성 부품의 내구성, 효율성,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며, 때문에 핵심 부품 전주기(Value Chain) 기술력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비나텍의 PEMFC 기술력

비나텍은 24년간의 R&D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 내에서는 유일하게 지지체–촉매–MEA–분리판까지 이어지는 수직 계열화된 생산체계를 기반으로 성능과 내구성을 모두 확보한 PEMFC를 독자 기술로 양산하고 있다.

[비나텍 PEMFC의 핵심 역량]

  • 탄소 제어 기술력에 기반한 높은 내구성
     

  • 초고내구성 촉매 제조기술로 타사 대비 2.5배 수명 확보
     

  • 백금 사용량 75% 절감 기술로 원가 경쟁력 확보
     

  • MEA 원가혁신 공정(Direct Coating) 및 높은 내구성
     

  • 반영구적 내구성의 분리판 기술
     

비나텍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다양한 특허를 보유 중에 있으며, 상용차, 항공, 건물용 시스템 등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실제로 자사 제품이 채택되며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입증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 글로벌 리더 비나텍

최근 비나텍은 수소연료전지 전용 생산센터를 확장하고, 2030년까지 연간 1억 장 규모의 MEA 생산 능력(CAPA) 확보를 목표로 글로벌 공급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세계최초로 원가절감기술에 기반한 양산화에 성공하며, 단순한 부품 공급을 넘어 수소 기반 에너지 생태계의 핵심 기술 파트너로 성장하고 있다.

PEMFC의 강점을 극대화하면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완성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수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과 에너지 전환의 중심이 되고자 한다.


비나텍 PEMFC 정보


#수소연료전지 #PEMFC #MEA #고내구성촉매 #DirectCoating #수소모빌리티 #비나텍 #에너지전환 #탄소중립기술